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베토벤과 리히노브스키 후작

“후작님! 당신이 무엇이든, 당신은 우연히 그렇게 태어났을 뿐입니다. (반면) 내가 무엇이든, 나는 나 스스로 이루었습니다. (당신 같은) 후작은 천명이 있고 앞으로도 있을 터이지만, 베토벤은(나는) 단 한 사람밖에 없습니다.”   1806년 10월 말, 격분한 베토벤이 리히노브스키(1761~1814) 후작 면전에서 내뱉은 말이다. 물론 그 대가는 혹독했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을 경제적으로 후원하고 바흐를 연구할 만큼 음악을 사랑했던 리히노브스키 후작과 피아노 소나타 ‘열정’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헌정할 만큼 그에게 의지했던 베토벤의 관계는 그렇게 막을 내렸다. 그날 이후 리히노브스키 후작은 베토벤에 대한 후원을 멈췄고 베토벤의 삶은 더더욱 궁핍해졌다.   베토벤의 귀족 콤플렉스가 여과 없이 드러난 이 거친 표현에서 그의 부족한 사회성이나 누구도 건드려서는 안 되는 자존심, 심지어 오만의 극치가 읽힌다. 아무리 화가 나도 그렇지, 아무런 대가 없이 자신을 지원해온 이에게 한 말치고는 너무 심하다 싶어 다시  한번 읽다가 두 단어에 눈길이 멈춘다. ‘우연히’(durch Zufall)와 ‘스스로’(durch mich). 공작 가문의 장남으로 ‘우연히’ 태어나 ‘절로 주어진’ 리히노브스키의 부(富)와 후작이라는 신분. 평민의 차남으로 태어나 ‘스스로 이룬’ 베토벤의 예술적 성취와 명성.   이렇게 베토벤은 노력 없이 주어진 것과 노력해 이룬 것을 대비시킴으로써 자신의 존재가 유일무이(唯一無二)한 것임을 강조하고 싶었나 보다. 평민으로서의 상실감과 스스로 이룬 것에 대한 자긍심이 뒤섞인 이 말을 되뇌니 그의 말이 오만이 아니라 당당함으로 들린다.   언제부터인지 ‘금수저’와 ‘흙수저’라는 분노와 좌절을 내포한 표현을 흔하게 접한다. 이 자조적 표현을 ‘수저계급론’이라고 한다나? 어릴 적 기억 깊숙이 각인된 금도끼·은도끼와는 달리 금수저·흙수저라는 단어는 사실 좀 낯설다. 금도끼와 은도끼가 정직한 삶에 대한 ‘보상’인 반면, 금수저와 흙수저는 자신의 노력과는 무관하게 ‘우연히 주어진 것’, 즉 불평등을 상징한다.   비록 흙수저를 물고 태어났을지언정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속담이 헛된 희망만은 아니었던 세대와 ‘넘사벽’(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 앞에 선 세대의 금수저를 향한 시선은 당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니 가족을 위해 자기 삶을 송두리째 희생한 산업화 세대도, 민주화를 향해 온몸을 던진 민주화 세대도, 오늘의 MZ세대 다수가 느끼는 좌절 앞에서 어찌할 바를 모른다.   계층 이동을 위한 사다리를 걷어찼기 때문이라고, 보금자리를 마련할 엄두도 낼 수 없을 만큼 부동산 정책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불공정한 제도와 부도덕한 상류층 때문이라고…. 이유를 찾자면 얼마든지 나열할 수 있겠지만 해결책은 묘연하다. 그래서 기성세대는 MZ세대가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경제적으로 열악하고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시절을 굳건히 헤쳐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금도끼와 은도끼는 온데간데없고 아들딸에게는 흙수저를 물렸다는 죄 아닌 죄로 인해 그 아픔과 좌절을 고스란히 공유한다.   캥거루족?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카르페 디엠(Carpe diem, 오늘을 즐겨라)? 딩크족(Double Income No Kids, 아이 없는 맞벌이)? 나름 합리적인 젊은 세대의 선택을 보며 그것이 적극적 선택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 속에서 불가피하게 택한 자구책은 아닌가 싶어 가슴 한편이 아려온다.   중요한 것은 입에 물린 수저가 아니라 금도끼와 은도끼라는 충고는 너무 ‘꼰대’스러울까? 내가 어찌할 수 없는 ‘우연히 주어진 것’을 탓하기보다 ‘스스로 이룬 것’으로 당당히 어깨를 펴라는 말 역시 고리타분하게 들리려나? 다섯 달란트를 맡은 이와 두 달란트를 맡은 이가 이를 불려 똑같이 ‘착하고 충성되다’고 칭찬받았듯이 자신의 가치는 우연히 주어진 것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스스로 이룬 것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야기는 너무 종교적인가? 아무리 머리를 굴려도 이렇게 현실적 요구와 거리가 먼 ‘사고의 전환’ 외에는 뾰족한 수가 떠오르지 않는다.   이 답답한 상황에서 베토벤이 리히노브스키 후작에게 쏘아붙인 말을 다시 한번 떠올려본다. 베토벤처럼 격분하지는 말고 예의를 갖추어 이렇게 당당히 말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덧붙여 금도끼와 은도끼까지 덤으로 받기를….   “금수저님! 당신이 무엇이든, 당신은 우연히 그렇게 태어났을 뿐입니다. 반면, 내가 무엇이든, 나는 나 스스로 이루었습니다. 당신 같은 사람은 천 명이나 있지만, 이것을 스스로 성취한 이는 나밖에 없습니다.” 전상직 / 서울대 음대 교수기고 베토벤 후작 후작 면전 반면 금수저 적극적 선택

2022-07-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